책과 삶

나는 정말 너를 사랑하는 걸까?

IamDreaming 2011. 11. 2. 07:00
반응형

정신과 의사가 쓴 책 [나는 정말 너를 사랑하는 걸까?]는 사랑을 주제로 한 독서치료 수업을 위해 읽은 책이었다. 기본적으로는 프로이드의 이론에 비추어 상담을 받으러 온 환자들을 행동을 분석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등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책이다. 그러니까 이론을 바탕으로 행동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다.

수업에 참여한 한 분은 사례보다는 이렇게 분석적이고 이론을 곁들여, 뭔가 배울 수 있는 책이 좋다고 했다. 하지만 난 이 책을 읽으며...저자에게는 미안하지만 내 취향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였다.

왜?
저자는 프로이드의 이론에 비추어 환자, 혹은 영화, 소설 속의 주인공들을 분석하고 있지만 난 의사의 태도가 싫었다. 마치 프로이드의 이론으로 모든 것이 분석되는 듯한 그런 태도와 그런 일괄적이고 냉담한 태도가 싫었다.

나 스스로가 프로이드의 이론을 알기 때문일수도 있고, 그냥 인간, 그 자체로써 이해받고 싶은 욕구가 발동했을 수도 있다. 그래서 이 책이 참 읽기 싫었다. 그렇지만 독서치료를 위해 선택된 도서라 끝까지 읽어보기로하고 인내심으로 마지막장까지 넘겼다.

저자에 대한 미움때문인지 책 내용이 머리에 잘 들어오질 않았다.
책을 읽으며... 이거 내가 아는 내용이야. 이것도 내가 들어본 내용이야 하며 고개를 내 저었다.

그렇게 자만심이 느껴질 만큼 이기적인 태도를 일관하며 책을 읽는데 마지막 챕터에 저자는 말했다.


정신분석학자는 환자들과 어느정도의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그래야만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귀울일 수 있고, 또 상대방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환자의 대화에 맞추어 주다 보면 의사 자신도 모르게 환자들의 감정에 이끌려 부모가 되고 사랑하는 사람이 되고... 그렇기에 객관적인 시선을 간직한채 환자를 대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내가 그녀의 환자는 아니지만 그녀의 책을 읽고 있는 나는 그제서야 이해가 되었다.

내가 왜 이 책을 읽으면 그렇게 '거리두기'를 하며 읽었는지 말이다.

이 책의 묘미는 마지막에 있었다.
저자를 이해하기 시작한 시점... 그 이후에 저자와의 거리두기를 좁히며 읽어갈 수 있었다.

저자는 말한다. 사랑하는 능력을 키우라고 말한다. 사랑하는 능력... 이것을 위해 저자는 4단계의 지침을 정했다. 
첫째, 과거를 재구성하라
둘째, 분노를 두려워하지 말라
셋째, all goo, all bad에서 벗어나라
넷째, So, it's me

이것이 저자의 나를 사랑하는 방법이다.
마지막, So, It's me의 한 꼭지! 정말 프로이드다운 말이었고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구절이었다.


프로이드는 정상의 기준을 '약간의 히스테리, 약간의 편집증, 약간의 강박을 가진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것은 어떤 사람도 이런 것들에서 완벽하게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내 안에 콤플렉스나 갈등이 있다는 것 자체가 문제 되는 건 아니다.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긍적인인 방향으로 이끌어 가느냐가 관건인 것이다.





저자를 미워하며 앞 부분을 읽고 저자를 이해하며 뒷 부분을 읽은 책!

나 스스로 저자를 더 사랑했으면 더 즐겁게 읽었을 있었을텐데 프로이드와 정신분석학자들의 이론틀에 비추어 사람의 마음을 분석하려는게 싫어서 즐거운 마음으로 읽지 못하였다. 그 이론들보다 훨씬 복잡한 내면세계가 존재할텐데 따뜻하게 접근하지 못하는 의사식 접근법이 싫었다. 프로이드 이론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나이지만 그래도 싫었다. 물론 이론과 더불어 저자의 따뜻함이 엿보이긴 했지만 나의 부정적인 느낌이 책 전반을 지배해 버리고 말았다.

하지만 누군가는 그러지 않았던가? 저자와의 대화가 즐겁지 않을 수도 있고 책을 읽고 분노하고 찢어버릴 수도 있다고..
하지만 이건 지극히 나의 개인적인 감정이기에... 독서치료, 남녀관계, 심리학에 있어 추천도서로 지목된 이 도서를 비하하거나 폄하할 생각은 전혀없음을 밝힌다.

그리고 나는 그냥 프로이드 식의 분석이 아닌 좀 더 따뜻한 방법으로 나를 사랑하는 배우고 싶다.


반응형